본문 바로가기
  • ON THE SANTA MONICA PIER, LA

전체 글43

관계부사란? 전치사 +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관계부사는 두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사와 부사의 역할을 동시에 하며,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이 형용사처럼 앞에 있는 선행사를 수식한다. 관계부사는 선행사에 따라 where, when, why, how를 쓰며, 「전치사 + 관계대명사」로 바꿔 쓸 수 있다. 관계부사가 이끄는 절을 관계부사절이라고 한다. 관계 부사절 = 형용사절 종속절은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나뉘는데 관계부사절은 형용사절이다. 종속절의 종류 접속사의 종류 명사절 평서문 that (간접)의문문 whether [ if ] 의문사 관계대명사 what, (관계부사 how) 형용사절 관계대명사 who[whom/whose], which, that 관계부사 부사절 because, when, if, while, though, … 관계부사의 종.. 2023. 10. 16.
간접의문문이란? 간접의문문과 명사절 간접의문문이란? 다른 문장 안에 의문문을 명사[절]로 넣어서 쓸 수 있는데, 다른 문장 안에서 명사절로 쓰이는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이라고 한다. 의문문이 독립적으로 쓰이지 않고, 다른 문장에 포함되어 주어나 목적어의 역할을 한다. 반대로 다른 문장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이는 의문문을 직접의문문이라고 한다. 간접의문문은 의문문 그대로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장에 포함되어 간접적으로 물어보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체 문장은 의문문이 아닐 수도 있다.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whether[if] / 의문사 + 주어 + 동사’이다. 간접의문문 = 명사절로 쓰이는 의문문 종속절은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나뉘는데 간접의문문은 명사절 중의 하나이다. 종속절의 종류 접속사의 종류 명사절 평서문 that (간접.. 2023. 10. 16.
과거완료 시제란? 과거완료 vs. 현재완료 vs. 과거 현재완료 현재완료는 과거에 시작된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거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have[has]+과거분사」의 형태로 쓰인다. 과거완료 과거완료 시제는 과거의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그보다 더 먼저 일어난 일을 가리키거나, 먼저 일어난 동작이나 상태가 특정 시점까지 영향을 미칠 때 쓰는 표현으로 「had + 과거분사 (p.p.) 」의 형태로 쓰인다. 과거완료는 현재완료와 마찬가지로 '경험, 계속, 완료, 결과' 의 의미를 나타낸다. 과거완료의 두 가지 의미 대과거 [ 선과거] 과거에 일어난 두 가지 일의 순서를 분명하게 할 때 사용한다. 과거보다 앞서 일어난 일(대과거, 선과거)을 과거의 사건과 시간적으로 구분 하는데, 이 때의 과거완료는 단순히 과거 보다 이전의 한 시점[대과거].. 2023. 10. 14.
강조의 do란? 본동사 do vs. 조동사 do 동사 do의 종류 본동사 do ‘~ 하다’ 뜻을 가지고 서술어[본동사]로서 사용. I do my homework. 조동사 do 의문문의 do: 일반동사의 의문문을 만들기 위해 사용. Do you like your new school? 새로운 학교가 마음에 드니? be동사의 의문문은 do를 이용하지 않고 be 동사 자체가 주어 앞으로 나간다. 부정문의 do: 부정문을 만들기 위해 not이 오면 아무 뜻 없이 형식적으로 not 앞에 붙이는 do. They do not have laptop computers. 그들은 노트북 컴퓨터를 안 가지고 있다. be동사의 의문문은 be동사의 다음에 not을 붙이면 된다. 대동사 do: 일반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앞에서 나온 동사를 대신하는 대동사. Do you ha.. 2023.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