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부정사란 동사가 문장 속에서 ‘~하는 것/하기, ~하는/~할, ~하기 위하여/~하니까/~해서~하다’의 뜻으로
명사, 형용사, 부사의 역할로 바뀌는 것을 가리킨다.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나타낸다.
동사[술어] 역할 - 동사의 원래 역할 |
I built a beautiful house. 나는 아름다운 집을 지었다. |
명사[목적어] 역할 | I want to build a beautiful house. 나는 아름다운 집을 짓기를 원한다. |
형용사 역할 | He has a plan to build a beautiful house. 그는 아름다운 집을 지을 계획을 가지고 있다. |
부사[목적] 역할 | I should work hard to build a beautiful house. 나는 아름다운 집을 짓기 위해 열심히 일해야 한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역할
문장에서 명사처럼 쓰여 ‘~하는 것/~하기’의 뜻으로 ①주어, ②보어, ③목적어 역할을 한다.
① 주어로 쓰이는 경우
‘~하는 것은/이’로 해석한다.
To write a novel is exciting. 소설을 쓰는 것은 흥미진진하다.
to 부정사가 주어로 쓰이는 경우 그 자리에 it을 쓰고 to부정사는 문장의 뒤로 보낼 수 있다.
It is exciting to write a novel.
It | is exciting | to write a novel. |
가주어 - 가짜 주어, 해석하지 않는다 |
문장의 서술어 | 진주어 - 진짜 주어, 주어로 해석한다 |
② 보어로 쓰이는 경우
‘~하는 것(이다)’로 해석한다. to부정사가 be동사 뒤에 와서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주격보어로 쓰인다.
My plan is to visit Yeosu. 내 계획은 여수를 방문하는 것이다.
③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하는 것을, ~하기를’ 로 해석한다.
I want to go on a picnic. 나는 소풍을 가고 싶다.
We hope to see you again. 우린 너를 다시 보고 싶다.
부정사만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
need ~할 필요가 있다 would like 하고 싶다 want 원하다 wish 소망하다 hope 바라다 learn 배우다 expect 예상하다 choose 선택하다 plan 계획하다 decide 결정하 promise 약속하다 refuse 거절하다 |
To 부정사를 부정할 때에는 바로 앞에 not을 붙인다. 「not + to 부정사」
Not to study hard will make you sorry.
공부 안하면 후회할거야.
You will be sorry not to try this food.
이 음식을 먹어보지 않으면 후회할 거야.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으로 쓸 때에는 의문사를 붙여 쓸 수 있다. 「의문사 + to 부정사」
how to ~ (어떻게 할지, ~하는 방법)
I don’t know how to get there. 거기에 어떻게 가야 하는지 모르겠다.
what to ~ (무엇을 ~할지)
I don’t know what to do for her. 난 그녀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when to ~ (언제 ~해야 할지)
Do you know when to start? 언제 시작할지 아느냐?
where to ~ (어디로 ~해야 할지)
We asked him where to go.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할지 그에게 물었다.
'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부정사의 종류 [용법 / 쓰임] 세 가지 정리 (0) | 2023.09.17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0) | 2023.09.17 |
미래시제란? 조동사 will, be going to (0) | 2023.09.15 |
과거시제란? 불규칙동사 과거형표 (0) | 2023.09.13 |
시제란? 현재시제 (0) |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