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사란?
접속사란 두개의 ‘절, 구, 단어’를 이어주는 품사이다.
접속사에는 등위접속사(대등접속사)와 종속접속사 두 가지가 있다.
절 | 주어와 동사를 갖춘 형태를 가르킨다. 절은 하나의 문장이 될 수도 있고, 절들이 접속사로 연결되어 여러 개의 절이 모여 하나의 문장이 될 수도 있다. |
구 | 여러 개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뜻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구는 주어 동사의 구조를 갖추지 못해서 절과 다르다. |
등위접속사(대등접속사)란? and, but, or, so
등위접속사는 절/구/단어를 동등한 지위로 이어주는 접속사이다.
그래서 앞 뒤의 절/구/단어의 순서를 바꿔도 대부분 뜻은 같다.
등위접속사로는 주로 ‘and, but, or, so’ 네 가지를 쓴다.
절을 연결 | Koreans love kimchi and they eat it everyday. 한국인들은 김치를 사랑하고 매일 먹는다. |
구를 연결 | They will stay at home or go on a picnic. 그들은 집에 머물거나 소풍을 갈거다. |
단어를 연결 | The food was delicious but expensive. 그 음식은 맛있었지만 비쌌다. |
and : ~와, 그리고, 그래서
서로 비슷한 내용을 연결한다.
We worked hard and earned some money.
우리는 열심히 일했고 돈을 좀 벌었다.
but : 하지만, 그러나
서로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을 연결한다.
I like dogs but she wants a cat.
나는 개들을 좋아하지만 그녀는 고양이를 좋아한다.
or : 또는, 아니면
둘 중 하나를 선택해 말할 때 쓰인다.
Do you want American food or Mexican food?
너는 미국음식을 원하니 아니면 멕시코음식을 원하니?
명령문 다음에 ‘or’를 쓰면, 그렇지 않으면의 뜻이다.
Hurry up, or you will be late.
서둘러라, 그렇지 않으면 늦을거다.
so : ~해서(결과)
앞의 행위의 결과를 나타낸다.
The monsoon is gone, so the weather is dry.
장마가 가서 날씨가 건조하다.
He is always positive, so he never gets depressed.
그는 항상 긍정적이어서 침울지지 않는다.
종속접속사란?
주절에 속하는 종속절 앞에 써서 종속절을 하나의 품사로 만들어 준다.
종속접속사는 절만을 이어 준다. 구, 단어까지 이어주는 등위접속사와 다르다.
종속접속사 that
「종속접속사 that + 주어 + 동사~는 ‘~라는 것’ 으로 해석되며 명사절을 이끈다. 즉, 종속접속사 that 다음의 절은 명사의 역할을 한다.
종속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명사와 마찬가지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일 수 있다
종속접속사를 해석할 때 종속접속사 뒤에 있는 종속절을 먼저 해석하고 접속사의 뜻을 붙여 해석해야 한다.
① | ③ | ② |
I believe | that | he tells the truth. |
① | ② | ③ |
나는 믿는다 | 그가 사실을 말한다 | ~라는 것을 |
A. 주어 역할: ~라는 것은
That he was such a good person | surprised us. |
그가 그렇게 좋은 사람이었다는 것은 | 우리를 놀라게 했다. |
주어 | 서술어 |
that절이 주어 역할을 할 때는 주어 부분이 길어지므로 그 자리에 가주어 it을 쓰고 진주어인 that절은 문장 뒤로 보내는 경우가 있다.
That he did his best is clear. 그가 최선을 다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 It is clear that he did his best.
That she won the first prize is surprising. 그녀가 1위에 입상했다는 것은 놀랍다.
That the earth is round is true.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사실이다.
B. 목적어 역할: ~라는 것을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동사 think, know, say, believe, guess 등의 목적(어)절로 쓰일 수 있다. that이 이끄는 절이 목적어 역할을 할 때는 접속사 that을 생략할 수 있다
He says (that) he did it himself . 그는 그것을 직접 했다고 말한다. .
She thinks (that) she left her book in the library. 나는 도서관에 내 책을 두고 왔다고 생각한다.
I'm sure (that) she is clever. 나는 그녀가 영리하다고 확신한다.
C. 보어 역할: ~라는 것이다.
My belief is that I can succeed in the end. 나의 믿음은 내가 결국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truth is that the earth is round. 진실은 지구가 둥글다는 것이다
'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명사란? 주격 ▪ 소유격 관계대명사 (0) | 2023.09.23 |
---|---|
전치사란? 시간의 전치사 at/on/in, for/during, before/after, from/to/since (2) | 2023.09.21 |
to 부정사의 종류 [용법 / 쓰임] 세 가지 정리 (0) | 2023.09.17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 (0) | 2023.09.17 |
to 부정사란?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2) | 2023.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