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ON THE SANTA MONICA PIER, LA
GRAMMAR

간접의문문이란? 간접의문문과 명사절

by ENGLISHMASTER 2023. 10. 16.

간접의문문이란?

 

다른 문장 안에 의문문을 명사[절]로 넣어서 쓸 수 있는데, 다른 문장 안에서 명사절로 쓰이는 의문문을 간접의문문이라고 한다. 의문문이 독립적으로 쓰이지 않고, 다른 문장에 포함되어 주어나 목적어의 역할을 한다. 반대로 다른 문장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이는 의문문을 직접의문문이라고 한다. 간접의문문은 의문문 그대로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문장에 포함되어 간접적으로 물어보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체 문장은 의문문이 아닐 수도 있다.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whether[if] / 의문사 + 주어 + 동사이다.

 

간접의문문 = 명사절로 쓰이는 의문문

종속절은 명사절, 형용사절, 부사절로 나뉘는데 간접의문문은 명사절 중의 하나이다. 

                      

종속절의 종류   접속사의 종류
명사절
 
평서문 that
(간접)의문문 whether [ if ]
의문사
  관계대명사 what, (관계부사 how)
형용사절   관계대명사 who[whom/whose], which, that
관계부사
부사절   because, when, if, while, though, 

 

의문문을 명사절로 만드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의문사가 없는 경우가 있고,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이 있다.

 

의문사가 없는 경우 「if/whether + 주어 + 동사」

의문사가 없는 간접의문문은 앞에 접속사 whether[if]를 써서 연결한다. 직접의문문의 어순이 조동사[be동사] + 주어 + (동사)인데,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whether[if] + 주어 + 동사」 이다.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이 간접 의문문이 될 때는 <if[whether]+주어+동사>의 순서가 된다. 이렇게 간접 의문문에 쓰인 if 만약 ~라면이 아니라 ~인지 아닌지의 뜻이 된다.

 

Does she like me? 독립적인 직접의문문

I don’t know whether[if] she likes me.

 

I don’t know whether[if] she likes me
  간접 의문문  의문사 없는 경우

 

Can you tell me? + Do you like me?  Can you tell me if you like me?

 

I dont know if he loves me.                          나는 그가 나를 사랑하는지 아닌지 모르겠어.
I wonder whether she is married or not.         나는 그녀가 결혼을 했는지 안 했는지 궁금해.

 

  

의문사가 있는 경우 「의문사+주어+동사」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은 문장의 제일 앞에 있는 의문사가 접속사역할을 하기 때문에 따로 접속사가 필요 없다. 직접의문문의 어순이 의문사 + 조동사[be동사] + 주어 」이고,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 + 주어 + 동사」 이다.

 

What does she like? 독립적인 직접의문문

I don’t know what she likes.

 

I don’t know what she likes.
  간접 의문문  의문사 있는 경우

  

「의문사+동사+주어~?」의 어순으로 쓰는 직접의문문과 달리, 간접의문문은 「의문사+주어+동사」의 어순으로 쓴다.

Do you know? + Who is he?  Do you know who he is?             그가 누구인지 넌 아니?

의문사 동사 주어 의문사 주어 동사

 Do you know what he is?에서 간접의문문 what he is는 동사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간접의문문에서 의문문의 의문사가 주어 역할을 할 경우 「의문사(주어)+동사」의 어순이 된다.

Who told you that?                         너한테 누가 그런 말을 했니?
 I wonder who told you that.        누가 너한테 그런 말을 했는지 궁금해.
What made you sad?                      무엇이 너를 슬프게 했니?
 Tell me what made you sad.        무엇이 너를 슬프게 했는지 말해 봐.

 

  

 

They didn't understand why I wanted to take their pictures.
그들은 내가 왜 자신들의 사진을 찍으려고 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의문사 why가 이끄는 의문문이 문장 안에 쓰일 때 평서문의 어순인 「의문사(why)+주어(I)+동사(wanted)」의 어순으로 쓴다. 이러한 것을 간접의문문이라고 하며 여기서는 동사 didnt understand의 목적어로 쓰였다.

 

Please tell us what you're planning to do in the future.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동사 tell의 직접목적어로 What are you planning to do in the future?가 온 것으로, 의문문이 다른 문장에 이어질 경우 「의문사(what)+주어(you)+동사(are planning)」의 어순의 간접의문문을 쓴다. , 간접의문문은 의문문이 다른 문장에 첨가되어 간접적으로 묻는 형태이다.

 

 

The old man asked me how old I was. 노인은 나에게 내가 몇 살인지 물었다.

I don't know what it means.              나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른다.

She doesnt know when he will come.            그녀는 그가 언제 올지 모른다.

 

 

간접의문문은 직접의문문보다 좀 더 공손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다음의 표현들과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다.

Do you know ~? Do you remember ~? I dont know ~. I wonder ~. Can you tell me ~?

 

 

 

주의할 간접의문문

 

생각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동사 think, believe, imagine, guess, suppose 등이 쓰인 문장 안에서 간접의문문이 목적어로 쓰일 때, 간접의문문의 의문사가 문장 맨 앞으로 간다. 그 뒤에 남는 단어의 어순은 <주어+동사>이다.

Do you think? + Who is he? Who do you think he is? 너는 그가 누구라고 생각하니?
*Do you think who he is? (X)